서울연구원은 4일 이 같은 내용의 인포그래픽스 ‘서울시민 결혼, 얼마나 줄고 있나?’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서는 6만5000쌍이 결혼했다. 1990년과 비교하면 37.6% 감소한 것으로, 하루 평균 285건에서 178건으로 결혼식이 크게 줄었다.

결혼유형별로 보면 초혼부부가 84.8%로 가장 많고, 재혼부부 7.8%, ‘재혼녀-초혼남’ 부부 4.0%, ‘재혼남-초혼녀‘ 부부 3.4% 순으로 나타났다. 재혼녀-초혼남 부부는 1998년부터 ‘재혼남-초혼녀’ 비중보다 많아졌다.
2000년 이후부터 결혼 시기를 분석한 결과 10쌍 중 7쌍은 봄과 가을에 결혼했다. 봄(3~5월)과 가을(9~11월)에 결혼한 비율(평균)은 각각 30.3%, 30.7%로 집계됐다. 겨울(12~2월)이 23.0%, 여름(6~8월)이 16.0%로 뒤를 이었다. 여름에 결혼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지난해 결혼한 사람의 연령(초혼)은 남자는 32.8세, 여자는 30.7세로 각각 나타났다. 여자 초혼연령이 처음으로 30세를 넘었다. 이는 20년 전인 1994년에 비해 남자는 4.2세, 여자는 4.9세 증가한 것이다.
연도별 결혼연령을 보면 1994년 남 28.6세-여 25.8세에서 1999년 남 29.4세-여 27.0세, 2004년 남 30.9세-여 28.3세로 남자의 초혼연령이 처음으로 30대를 넘었다. 2009년에는 남 32.0세-여 29.6세로 나타났다.
--------------------------------
서울 결혼식 24년전 비해 30%넘게 감소…하루평균 178건
서울에서 결혼식을 올린 남녀의 수가 24년전과 비교해 3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연구원이 4일 펴낸 '서울시민 결혼, 얼마나 줄고 있나' 인포그래픽스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선 6만5000쌍, 하루 평균 178쌍이 결혼했다. 1990년 10만400 0쌍에서 37.6% 준 것이다.
지난해 결혼 유형은 초혼이 84.8%로 가장 많고 재혼부부(7.8%), 재혼녀와 초혼남(4%), 재혼남과 초혼녀(3.4%)로 뒤를 이었다.
1998년을 기점으로 재혼 여성과 초혼 남성 결혼 비중이 재혼 남성과 초혼 여성 결혼 비중을 추월한 것으로 조사됐다.
계절별로는 봄, 가을 결혼식이 많지만 최근에는 비중이 줄고 있었다.
3~5월 봄 결혼식은 2000년 한해 결혼식의 33.3%에서 지난해 28.7%로, 9~11월 가을 결혼식은 같은 기간 31.9%에서 30.7%로 감소했다.
반면 여름 결혼식은 2000년 12.3%에서 지난해 19.2%로 6.9%포인트나 늘었고 가을도 22.5%에서 23.7%로 상승했다.
지난해 초혼 연령은 남자가 32.8세, 여자가 30.7세로 20년 전보다 각 4.2세, 4.9세 많아졌다.
서울 여성의 초혼 연령은은 1994년 25.8세에서 1999년 27세, 2004년 28.3세, 2009년 29.6세, 2014년 30.7세로 늦어졌다. 남성은 1994년 28.6세에서 1999년 29.4세, 2004년 30.9세, 2009년 32세, 2014년 32.8세로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