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nner 1

한국전쟁에서 마지막으로 기록된 전사자


한국전쟁에서 마지막으로 기록된 전사자

 
판문점에서 15마일 떨어져있는 이지 메드 막사에 복무하는 위생병들은

수 많은 시간동안 많은 자들이 생을 마감하는 것을 지켜보았다

다른 사람의 생명을 짊어진다는 압박감 속에, 그들은 냉정하고 효율적으로 움직였다

심지어 감정이 없다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하지만 지난 밤 전투가 지난 후, 그런 사람들이 한 남자를 위해 밤새도록 기도하는 모습을 볼 수 있




-라이프지 기자, 1953년 07월 27일-



한국전쟁에서 마지막으로 기록된 전사자

 

중공군의 박격포에 부상을 입은 신원불명의 해병이 어둠속을 해쳐 이지 메드 막사에 도착했다

도착하자마자, 위생병들은 곧바로 작업에 착수했고, 일 분 일 초라도 아끼기 위한 사투를 벌이기 시작했다

쇼크를 일으키자 마자 위생병들은 20핀트 (약10리터)에 달하는 혈액과 알버민을 투여하기까지 했다

세 명의 군의관이 다섯 시간동안 수술을 진행했고, 폐에 찬 피를 빼내고, 다리의 절단부위에 있는 혈병을 제거했다




그들이 할 수 있는 조치는 이것 뿐이었

 

한국전쟁에서 마지막으로 기록된 전사자
 

 
그의 전우는 병상에 누워있는 자기 친구를 보며 울음을 터뜨리기 시작했고
 
열을 식혀주기 위해 알코올로 몸을 닦아주기 시작했다
 
위생병은 그저 지켜보며, 부디 환자의 생존을 바라며 기도를 올릴 수 밖에 없었다
 

한국전쟁에서 마지막으로 기록된 전사자

새벽 3시 20분
 
휴전 협정이 체결 된지 7시간 후 부상당한 해병은 숨을 거두었다

라이프지 기자는 그 때의 모습을 이와 같이 서술했다


 
흰 수의가 그 상병의 얼굴 위를 조심스레 가렸다

그리고 이지 메드 막사의 마지막 환자는 외로이 빛나는 전구 아래에서

그 짧디 짧은 생을 마쳤다


한국전쟁에서 마지막으로 기록된 전사자